카테고리 없음

솔과학 출판사 신간 [교정 교육 상담시리즈 +01 교정의 심리학](이명숙, 한영선, 손외철 공저) 안내입니다.

sonamuhak 2017. 2. 27. 15:10

솔과학 출판사 신간 안내

교정 교육 상담시리즈 +01

[교정의 심리학](이명숙, 한영선, 손외철 공저)

 

이제는,

범죄가 아니라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 대해서 탐구하는 실천학문이 필요하다.

추상적인 두려움이나 범죄발생 양상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각자가 개인적 삶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자신의 사고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범죄인을 연구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범죄자를 삶을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바라보고,

이들의 심리와 환경을 분석하고 이해하여 건강한 사회인으로 변화시키려 하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실체가 없는 두려움에서 벗어나서 상처와 결핍을 안고 있는 한 인간으로 바라보면서 전문적인 이해와 교정적 대안을 제시한다.

 

 

 

 

1. 머리말

 

매년 200만 명의 성인범죄자와10만 명에 달하는 소년범죄자가 발생하고 있다.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부적응으로 인해 범죄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위기 청소년도 매년 30만여 명에 이른다. 이러한 현실 상황을 반영하듯 범죄관련 뉴스는 교통사고보다 더 자주 보도되고 있다. 이제 범죄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 일상이 되고 있으며, 선량한 시민들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언론 매체를 통하여 접하는 범죄관련 소식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또는 범죄인에 대한 거부감으로 작용한다. 막연한 두려움은 선제적인 사회현상이 되어 일상의 삶을 위협하며 일상 활동의 자유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두려움이나 거부감은 추상적 개념으로서 구체적인 실체가 없기 때문에 과학적인 접근을 어렵게 한다. 또한 비행청소년이나 범죄인에 대한 사회적 외면은 이들이 성장한 척박한 성장배경 및 생활환경에도 눈감게 하여 성인이 되어서도 범죄 유발적 생활양식 및 일탈적 인성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악순환을 보이고, 심지어는 범죄의 대물림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제는 범죄가 아니라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 대해서 탐구하는 실천학문이 필요하다. 추상적인 두려움이나 범죄발생 양상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각자가 개인적 삶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자신의 사고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범죄인을 연구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 이다.

이번에 한국교정교육교육상담 포럼의 총서 중 제1권으로 발간되는 교정의 심리학은: 범죄자를 삶을 살아가는인간으로서 바라보고, 이들의 심리와 환경을 분석하고 이해하여 건강한 사 회인으로 변화시키려 하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실체가 없는 두려움에서 벗어나서 상처와 결핍을 안고 있는 한 인간으로 바라보면서 전문적인 이해와 교정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책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은 범죄인에 대한 것이다. 범죄원인으로서 유전과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고, 범죄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이론과 내분비계와 신경계, 인지 특성 등 최근 연구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2편은 범죄행위에 대한 것이다. 범죄행위의 결과로서 형벌의 고통과 우리나라의 현행 치료적 교정보호제도에 대해서 살펴보고, 폭력범죄, 성범죄, 약물 범죄 등 주요 범죄유형별로 범죄자의 심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 책은 범죄자의 심리를 이해하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들을 교정하 기 위한 의도로 집필하였고, 이를 위하여 많은 자료를 분석하고 검토하였으나 아직도 부족함을 느낀다.

 

2. 목 차

 

1부 범죄인CRIMINAL MAN

서 장

 

1. 치료적 사법의 이념 ·······················································································8

 

범죄 원죄론

1장 유전과 범죄 ·····················································································19

1. 롬브로소의 범죄인류학 19

2. 현대의 범죄생물학 : 변연계 기능 27

3. 유전과 범죄의 관계 29

2장 환경과 범죄 ·····················································································39

1. 환경과 인간발달의 관계 39

2. 치료적 사법의 이념 역기능적 가족환경 42

3. 빈곤 환경과 발달적 위기 47 | 4. 건강한 환경의 회복 50

 

교정심리학 기초이론

3장 학습이론 계열 ·················································································57

1.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57 | 2.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59

3. 사회학습이론 63

4장 정신분석이론 계열 ··········································································67

1. 프로이드 이론 67 | 2. 아이호른의 정신분석적 범죄이론 70

3. 볼비의 애착이론 74

5장 인지 및 정보처리이론 계열 ····························································77

1.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77 | 2. 인지적 신연합주의 81

3. 습관화 가설 84

6장 범죄적 성격이론 계열 ·····································································86

1. 성격 신경과학(Personality Neuroscience)의 출현 86

2. 아이젠크 성격이론 89 | 3. 그레이의 충동성 동기 이론 93

 

범죄인의 특성

7장 내분비계와 신경계 ··········································································99

1. 범죄인의 내분비계 이상 99 | 2. 범죄인의 신경계 이상 101

3. 미래 교정과 신경생물학(Neuro-Biology) 105

8장 성격과 정서 ··················································································112

1. 성격을 보는 관점 112 | 2. 충동성 113

3. 감각추구 성향 115 | 4. 분노와 증오 117

9장 인지와 사고 ··················································································123

1. 사회적 역능의 결핍 123 | 2. 범죄적 사고양식 124

3. 폭력범의 분노와 인지 왜곡 128 | 4. 성폭력범의 인지 왜곡 129

10장 정신장애 ······················································································136

1. 정신장애 정의 및 분류 136 | 2. 정신장애와 범죄와의 관계 141

3. 범죄관련 주요 정신장애 146

 

2부 범죄 행위CRIMINAL BEHAVIOR

11장 교정과 교도소 ·············································································169

1. 교정과 형벌 169 | 2. 범죄자는 누구인가? 171

3. 교정시설은 어떤 곳인가 175

12장 정신장애 범죄 실태 ································································191

1.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의 개념 정의 191

2. 정신장애 범죄 실태 192

3. 정신장애 범죄자 관리 및 치료실태 196

13장 치료적 교정보호제도 ··································································207

1. 치료감호제도 207 | 2. 치료보호제도 : 약물범죄자 치료 211

3. 이수명령제도 : 성범죄자 치료 중심 212

4. 성충동 약물치료(화학적 거세) 명령 : 성범죄자 치료 215

5. 정신질환 범죄인 관리 및 치료를 위한 정책 제안 227

6. 보호관찰 228 | 7. 특정범죄자 229 | 8. 소년보호 231

14장 범죄유형별 심리 ·········································································239

1. 폭력범죄 239 | 2. 성범죄 242

3. 약물범죄 250 | 3. 약물중독 유발의 위험 요인 254

4. 증오범죄 257

15장 인지행동치료와 교정 ··································································268

 

부록

외국의 인지행동치료의 실제: 분노관리 ·························································298

 

 

3. 저자 소개

이명숙

연세대학교 심리학 박사 I University of Michigan 사회복지학 석사 | 서울대학교 심리학 석사 | 서울대학교 과학교육 학사 | 현 경기대학교 교정보호학과 교수 | 현 한국교정교육상담포럼 회장 |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제9대 원장 | 국부총리실 청소년육성위원회 전문위원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위원 | 방송위원회 심의위원

 

한영선

동국대학교 범죄학 박사 I Michigan State University 범죄학 석사 | 부산대학교 법학과 학사 | 현 서울보호관찰심사위원회상임위원 | 현 한국교정교육상담포럼 부회장 | 36회 행정고시 | 법부부 소년과장 | 서울소년원장 | 서울소년분류심사원장

 

손외철

동국대학교 범죄학 박사 I University of Hull(UK) 형사법과 석사 |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 현 서울보호관찰소장 | 현 한국교정교육상담포럼 부회장 | 34회 행정고시 | 법무부 보호관찰과장 | 부산보호관찰소장 | 치료감호소 서부과장